K-SMARTFACTORY

AI & Big Data

한국 제조기업 AI 활용 현황

2025-11-26

 

한국 제조기업 AI 활용 현황

-대한상공회의소: 기업의 AI 전환 실태와 개선방안 보고서-

 

국내 제조기업 10곳 중 8곳 이상이 인공지능(AI)를 경영에 활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. 중소기업의 활용도는 4% 정도에 불과했다.

 

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504개 제조기업 대상으로 조사한 'K성장 시리즈(7) 기업의 AI 전환 실태와 개선방안' 보고서에 따르면, 응답 기업의 82.3%가 

AI를 경영에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. 대기업(49.2%)에 비해 중소기업 활용도(4.2%)는 크게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.

 

응답 기업의 73.6%AI 투자비에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. 대기업(57.1%)보다 중소기업(79.7%)이 비용 부담을 많이 느끼고 있다.

 

80.7%AI 활용을 위한 전문인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, AI 인력 충원에 대해서는 응답 기업의 82.1%'충원하고 있지 않다'고 응답했다

내부직원을 교육해 전문인력으로 전환(14.5%)하거나 신규 채용한다(3.4)는 기업은 총 17.9%에 불과했다.

 

AI '연료'라 할 수 있는 데이터 활용에 대해서도 응답 기업의 절반(49.2%)'전문인력 채용 부담'으로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

이어 '개인정보 이슈에 따른 규제 부담'(20.2%), '데이터 정제 부담'(16.3%), '데이터 수집 시설 부담'(14.3%)을 원인으로 지목했다.

 

AI 도입 효과에 대한 확신도 부족했다.

 

응답 기업의 60.6%'효과가 미미할 것'으로 답해 '효과가 클 것'(39.4%)이라는 응답과 대조를 이뤘다. AI 전환에 많은 비용과 인력을 

투입해야 하는 제조업 특성상 투자 대비 효과에 대한 의구심이 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.

 

대한상공회의소는 AI 활용도가 높은 기업에는 일률적 지원보다 회사 전략에 따라 유연하게 정책 지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자율성을 확대하는 등 

맞춤형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.

 

AI 도입률이 낮은 기업에는 도입 이전 컨설팅, 도입 단계에서 실무 중심 기술 지원, 도입 이후 실습교육과 현장 멘토링으로 나눈 단계별 지원이

초기 투자 부담이 큰 중소기업에는 구독형 서비스(SaaS) 기반 AI 도입 모델 제공이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.

 

 

 

대한상의 산업혁신본부장은 지금은 실제 데이터 축적과 활용, 인재 영입 등에 뛰어들어야 하는 시점이라며 모델 공장, 솔루션 보급 등 제조 현장에 

빠르게 확산할 수 있는 아이디어와 더불어 강력한 지원, 파격적인 규제 혁신을 담은 메가 샌드박스라는 실행전략이 맞물려 돌아가야 할 때라고 말했다.

 

출처ㅣhttps://www.korcham.net/nCham/Service/Economy/appl/KcciReportDetail.asp?SEQ_NO_C010=20120943454&CHAM_CD=B001